한국어 교재의 구성원리 그리고 교수 요목의 종류

반응형

한국어 교재론

 


한국어 교재의 구성 원리

1. 한국어 교수 학습 목적을 충실히 반영해 교재를 개발해야 한다.

; 일반 목적, 특수 목적(학문적, 직업적 목적)

일반 목적 -> 잠재적 특수 목적 학습자: 중급 단계부터는 학문 연구나 업무 수행 등 특수 목적 영역에서 요구되는 요소들을 포함.

 

2. 다양한 변인을 고려해 교재를 개발해야 한다.

- 아동 VS 성인 / 외국인 VS 해외 동포 / 한국어와 유사한 언어권 학습자 VS 차이가 큰 언어권 학습자

- 숙달도 수준에 따라 달라야 하며 교육 시간의 강도에 따라서도 교재는 달라야 함.

- 학습자와 환경 등에 따른 변인이 많다.

 

3. 정확하고 자연스러운 한국어를 익힐 수 있도록 교재를 구성.

- 구어와 문어의 특성이 살아 있는 한국어 자료를 제공(구어는 구어답게, 문어는 문어답게)

- 담화 특성이 살아 있는 자료를 제공하여 상황과 맥락에 적절한 발화를 구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4. 한국어와 함께 한국 문화를 교육할 수 있도록 교재를 개발

- 한국 사회, 한국인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뿐 아니라 한국어 학습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줌.

 

5. 학습의 주체가 되는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해 교육 과정, 교육 방법, 교육 절차를 설계하고 교재를 구성

- 설문조사 등

- 학습자가 자율적, 능동적으로 수업 참여, 의사소통 욕구를 자극하여 학습의 내적 동기를 강화. 

- 개발자가 자신의 기준으로 교육 항목을 선정하고 교육 방법을 결정해 교재를 구성하던 것에서 벗어나야 함.

 

6. 과정 중심의 교육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구성

- 학습자가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하고 학습자 간의 상호 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

- 모방 활동(읽고 대답하라. / 무엇에 대해 이야기하라. VS 의사소통적 과제 Comunicative Task

- 스스로가 창조적인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조건을 만들어 줘야 함.

 

7. 다양한 매체(교사 포함)를 이용해 한국어 교재 개발

- 특히 국외 학습자를 위해

- 자연스러운 한국어 입력을 접할 수 있는 시청각 교재 개발이 필요

- 학습자의 주도적 학습을 가능하게 한다는 장점.

 

8.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가 통합적으로 연계될 수 있어야 함.

 


교수 요목의 종류

 

1. 교육 과정의 구성 요소

  • 학습자의 요구
  • 교육 목적과 교육 목표
  • 교육 내용
  • 교육 방법
  • 교육 평가

-> 교육 평가를 제외한 모든 것이 교수 요목.

 

2. 교수 요목이란,

  • 교육 내용과 순서의 개요를 이루는 설계문
  • 교재 구성의 근간
  • 학습자가 배워야 할 교육 내용 목록
  • 교육 과정의 설계도

 

1) 구조적 교수 요목 Structural Syllabus

  • 가장 먼저 나온 교수 요목
  • 언어 구조 중심(음운, 문법...)
  • 교육해야 할 문법 사항들을 순서를 정해 체계적으로 제시.

그러나,

  • 언어 형태나 의미, 기능 사이에 언제나 일대일 관계가 존재하는 것이 아니란 사실이 간과.
  • 구조적 교수 요목에 의해 구성된 교재에는 맥락이 결여된 고립된 문장만이 나열.
  • 실제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는 데 도움을 주지 못함.

 

=> 단순함에서 복잡함으로 넘어가는 구성;

(예) 나는 학생입니다. -> 날씨가 춥습니다. -> 나는 밥을 먹습니다. -> 학교에 갑니다. -> 학교에서 공부합니다. -> 집에서 잠을 잤습니다.

 

2) 상황적 교수 요목 Situational Syllabus

  • 학습자들이 목표어 환경에서 흔히 접하는 장소나 상황을 중심으로 설계한 교수 요목
  • 특정 상황에서 자주 사용되는 목표어의 어휘나 문법, 구문 등이 주요 학습 내용; '가게에서', '우체국에서', '식당에서' 등
  • 보다 의사소통적이며 학습한 표현을 필요한 상황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

그러나, 

  • 실제 의사소통이 교재의 내용과 동일하게 이루어지지 않음.
  • 주로 다루는 상황들이 '사회적 상황'인 것이 문제; 학습자가 실제적으로 가장 많이 접하는 상황은 개인적이고 개별적인 상황이다.

 

=> 짧은 기간에 물건을 사고 팔거나 여행을 하는 데 필요한 표현만을 배우고자 하는 학습자에게 효과적

 

3) 개념, 기능적 교수 요목 Notional - Functional Syllabus

  • 개념점 교수 요목: 위치, 시간, 수 등의 개념을 포현하는 의미
  • 기능적 교수 요목: 물건 사기, 길 묻기, 제안 하기 등 의사소통 행위를 통해 수행하고자 하는 언어 활동의 목적
  • 혼합 형태로 많이 사용
  • 언어를 규칙 체계가 아닌 의사소통 목적으로 파악하여 실제적 학습 과제를 설정

그러나,

  • 의사소통적 본질에 관심을 두기는 했으나, 결국은 문법적 교수 요목과 마찬가지로 개념과 기능 목록을 나열한 것일 뿐 언어가 학습되는 방법을 설명하지는 못함.
  • 언어를 분절적 단위로 구분해 언어의 의사소통적 본질을 왜곡
  • 어떤 개념과 기능을 선택했고 어떤 순서에 의해 배열할 것인가에 대한 객관적인 근거가 희박.

 

4) 과제 중심 교수 요목 Task Based Syllabus

  • 학습자가 수업 중 수행하게 될 과제나 활동을 중심으로 구성
  • 언어 학습과 사용의 구체적인 목적을 제시하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인 언어 학습으로 유도 할 수 있음.
  • 실생활에서 수행할 가능성이 높은 과제를 중심으로 교육 내용을 구성하므로, 학습자의 의사소통 욕구를 내적으로 동기화하는 데 큰 도움을 주며, 실제적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 언어의 형태적인 측면을 무시하고 언어 수행 차원의 과제를 중심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정확성을 기르는 것이 약함.

 

5) 내용 중심 교수 요목 Content Based Syllabus

  • 역사, 생물, 수학 등의 학문 교과목이나 주제를 중심으로 설계한 교수 요목
  • 일반적 목적의 언어 학습자들보다 특수 목적, 특히 학문 목적의 학습자들을 교육 대상으로 하는 교재 개발을 위한 교수 요목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