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 제2언어 습득 관련 학파 및 이론 ] 1. 행동주의 심리학 자극, 반응, 보상 반복 연습, 습관화 기계적 학습방법 / 흉내 / 보상에 의한 강화 관찰=연구 / 오류=부정적 파블로프의 개 실험 = 고전적 조건 형성 2. 인지주의 심리학 ↔ 행동주의 사고, 통찰, 논리 원칙 이해, 인지영역 지식: 추상적 원리, 생각과 인간 내면의 통찰력을 통해 지식을 얻음. 게슈탈트 심리학: 나무가 아닌 숲을 봐라. 하나하나가 아닌 전체를 연구함으로 이해한다. 3. 인본주의 심리학 느낌, 전인적 접근, 맥락 이해, 의미 이해 전체 맥락 속에서의 의미, 느껴서 아는 것. 비지시적 교육 학생 중심 학습 → 교사는 가르치는 것이 아닌 도와주는 것 학습환경만 적절히 조성되면 인간은 뭐든 배울 수 있음. 제2언어 학습자와 제2언..
언어 습득론 제 2장 제2언어 습득의 토대 - 다중언어 구사능력(multilingualism): 둘 또는 그 이상의 언어를 사용하는 능력. (=이중언어 구사능력) ↔ 단일 언어 구사능력(monolingualism) - 단어의 정체성에 차이를 가져오는 소리는 음소(의미를 분별해주는 최소의 소리)라고 부른다. * 언어 데이터를 보고함에 있어 불확실성이 발생하는 이유 1) 언어 정보가 공식적으로 수집되는 일을 별로 없다. 2) 언어 정보를 묻는 질문에 대한 답이 믿을 수 없을 지도 모른다. - 소수 언어 화자로 인식되는 것을 응답자가 원치 않을 수 있다. - 질문을 어떻게 작성하느냐 하는 문제가 언어 데이터에 대한 신뢰성의 저하와 비교 불능의 원인이 되는 일은 흔함. 3) 용어에 대한 정의와 식별의 기준은 일..
언어 습득론 제1장 제2언어 습득 소개 제2 언어 습득이란, 어린아이로서 그들의 첫 번째 언어를 학습한 후에 어떤 언어를 학습하고 있는 개인이나 집단에 관한 연구, 그리고 그 언어를 배우는 과정에 관한 연구 모두를 가리킨다. - 습득: 언어를 무의식적으로 알게 되는 과정, 유창하게 발화, 어린아이, 모국어 - 학습: (정규 교육 정규 교육 등을 통해) 의식적으로 얻어짐, 유창하지 않음, 성인, 외국어 → 학습과 습득을 별개의 개념이며 학습은 습득적으로 전이되지 않는다는 주장. - 제2언어(L2): 교육이나 고용, 혹은 다른 기본적 목적을 위해 필요한 공무상으로 혹은 사회적으로 지배적인 언어(화자의 제1언어는 아님). 그 언어가 사용되는 환경에서 언어를 배우는 경우. 생존을 위해 언어를 배우는 경우. -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