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 한국어 말소리의 생성 과정 ] 1. 말소리의 개념 (음성의 개념) 말소리: 의사소통 목적 -> 모스 부호와 동물 소리는? 말소리: 인간의 발음 기관을 통한 소리 -> 한숨 소리, 숨 소리, 혀 차는 소리는? 말소리: 인간의 발음 기관을 통해 만들어진 언어학적으로 의미 있는 소리 2. 조음 기관 3. 말소리의 생성 과정 ㄱ. 발동 과정 -> ㄴ. 발성 과정 -> ㄷ. 조음 과정 ㄱ. 말소리의 재료, 폐에서 생성하는 과정, 음원(기류) 발생 ㄴ. 폐 -> 후두를 지나면서 여러가지 소리를 만듬. (유서음, 무성음...) 성대의 상태에 따라 유/무성음, 평/경/격음으로 분류 ㄷ. 성대를 지난 소리가 입모양에 따라(구강) 다양한 소리를 만듬. * 언어에 따라 말소리 생성 과정이 다를 수 있다. 4. 말소리의 ..
[ 한국어 발음 교육은 실제로 어떻게 진행될까? ] -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발음 수업의 구조는 PPP이다. (*PPP모형에 대한 것은 다음과 같다.) https://letsdoitwithme.tistory.com/8 [한국어 교육] ppp모형 그리고 ttt모형 ppp모형은 가장 전형적이면서도 전통적인 문법 교수의 모형으로 다루어져 왔다. ppp모형은 교사 중심의 학습 절차로, 언어 학습을 일종의 습관 형성의 과정이라 보고 교사가 학습 목표가 되는 언어.. letsdoitwithme.tistory.com 도입 -> 제시, 설명 -> 연습 -> 사용 -> 마무리 1. 도입 목표 제시 동기 부여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상황을 제시) -> 발음 수업에서는? 질문을 던진다. (예; 가족, 친구..
정서법 ; 예전 수업 과제였던 저의 외래어 오류 찾아 수정하는 리포트를 참고하였습니다. 1. 돈까스 -> 돈가스 표기의 기본 원칙 파열음 표기에는 된소리를 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따라서 ‘돈까스’가 아닌 ‘돈가스’라고 표기하는 것이 옳다. 2. 샷시 -> 섀시 chassis 의 발음 표기는 [ʃӕsi]이다. 모음 앞의 [ʃ]는 뒤따르는 모음에 따라 ‘샤’, ‘섀’, ‘셔’, ‘셰’, ‘쇼’, ‘슈’, ‘시’로 적는다. 따라서 ‘샷시’가 아닌 ‘섀시’로 표기하는 것이 옳다. 3. 샤시 -> 섀시 chassis 의 발음 표기는 [ʃӕsi]이다. 모음 앞의 [ʃ]는 뒤따르는 모음에 따라 ‘샤’, ‘섀’, ‘셔’, ‘셰’, ‘쇼’, ‘슈’, ‘시’로 적는다. 따라서 ‘샤시’가 아닌 ‘섀시’로 표기하는 ..
정서법 길을 걷다 보면 수 많은 간판들과 홍보지 등을 볼 수 있다. 그리고 다양한 한국어 혹은 외국어들이 올바르지 않는 표기법으로 적혀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로마자를 한글로 표기함에 있어서 수 많은 오류들을 발견 할 수 있었다. 가장 많은 오류들은 로마자를 발음 그대로 표기하거나 일본식 발음을 그래도 표기한 사례들이었다. 1. 썬그라스 -> 선글라스 ‘s’는 ‘ㅅ’으로 표기한다. 어중의 [l]이 모음 앞에 오면 ‘ㄹㄹ’로 적는다. 2. 프라자 -> 플라자 어중의 [l]이 모음 앞에 오면 ‘ㄹㄹ’로 적는다. 3. 비젼 -> 비전 어말 또는 자음 앞의 [ʒ]는 ‘지’로 적고, 모음 앞의 [ʒ]는 ‘ㅈ’으로 적는다. ‘쟈,죠,쥬,져,졔,쟤’가 아니라 ‘자,조,주,저,제,재’로 표기한다. 따라서 ‘비젼’..
한국어 교재론 한국어 교재의 구성 원리 1. 한국어 교수 학습 목적을 충실히 반영해 교재를 개발해야 한다. ; 일반 목적, 특수 목적(학문적, 직업적 목적) 일반 목적 -> 잠재적 특수 목적 학습자: 중급 단계부터는 학문 연구나 업무 수행 등 특수 목적 영역에서 요구되는 요소들을 포함. 2. 다양한 변인을 고려해 교재를 개발해야 한다. - 아동 VS 성인 / 외국인 VS 해외 동포 / 한국어와 유사한 언어권 학습자 VS 차이가 큰 언어권 학습자 - 숙달도 수준에 따라 달라야 하며 교육 시간의 강도에 따라서도 교재는 달라야 함. - 학습자와 환경 등에 따른 변인이 많다. 3. 정확하고 자연스러운 한국어를 익힐 수 있도록 교재를 구성. - 구어와 문어의 특성이 살아 있는 한국어 자료를 제공(구어는 구어답게,..
한국어 발음 교육론 1. 발음 교육의 필요성 '원활한 한국어 의사소통'을 위함. 학습자의 궁극적 목표는 '한국 사람처럼 한국어로 정확하고 유창하게 말하는 것' 발음이 부정확할 때, 듣는 청자가 힘들어짐. 그로인해 내용보다는 형식에 치중하게 됨. (내용의 깊이가 평가 절하) 2. 발음 교육의 목표 원활한 의사소통 자신감 향상: 정확한 발음 -> 자신감 향상 -> 발화 기회 증가 -> 한국어 능력의 전반적인 향상 *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를 잘하려면 어휘, 분법을 잘 알고 사용할 줄 알아야 한다? ( 맞다. ) *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를 잘하려면 발음을 잘 알고 정확하게 할 줄 알아야 한다? ( 맞다. ) 3. 한국어가 다른 언어보다 발음 교육이 중요한 이유 한국어는 다른 언어와 다르게 읽기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