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앞서서 플립 러닝의 개념과 고려 사항 등을 알아보았다. 이번 글은 이런 플립 러닝을 어떤 방식으로 수업에 적용하는지, 플립 러닝 기반의 수업 모형에 대해 알아보았다. 우선, 수업 모형을 보여주기에 앞서 학습 단계를 토대로 플립 러닝의 수업 원리를 보여주고자 한다. 학습 단계를 총 6단계로 나눌 때, 지식 습득 단계인 '기억하기', '이해하기'와 지식 체화 단계인 '적용하기', '분석하기', '평가하기', '활용하기'가 있다.(Bergmann&Sams,2012) 이를 정리하면 다음 표와 같다. 학습 단계 6단계 학습 단계 지식 습득 단계 1.기억하기(Remember) 2.이해하기(Understand) 지식 체화 단계 3.적용하기(Apply) 4. 분석하기(Analyze) 5. 평가하기(Evaluate) 6..
오늘은 앞 포스터에서 이야기한 플립 러닝 기반 수업 시 설계 고려 사항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앞서 플립 러닝이란 온라인 수업과 오프라인 수업을 함께 하는 혼합형 수업 중 하나로, 전통적 수업에서 지식 습득을 하는 단계를 교실 수업 전 온라인으로 사전 학습을 한 후, 교실 수업에서 지식 체화를 하는 활동과 연습 단계를 하는 수업 방법이다. 즉, 전통적 수업 방식을 뒤집은 형태의 수업으로 거꾸로 학습, 역전 학습 등의 용어로 말하기도 한다. 이러한 플립 러닝 기반의 수업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4가지의 고려 사항이 있다. 1. 유연한 환경(Flexible Environments) 2. 학습 문화의 변화(Shift in Learning Culture) 3. 의도된 내용(Intentional Content) ..
요즘 연구 진행 중인 플립 러닝에 대하여 간단하게 소개하고자 한다. Flipped learning, 즉 플립 러닝은 플립드 러닝, 거꾸로 학습, 역전 학습 등 다양한 용어로 지칭되기도 하지만, 이 글에서는 플립 러닝으로 통칭하도록 하겠다. 플립 러닝은 2007년 미국 플로라드 주의 화학 교사 Bergmann이 수업에 참여하지 못하는 학생들을 위해 화학 강의를 녹화해서 시청할 수 있도록 동영상 강의를 만들며 시작되었다. 이는 수업 진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던 것을 확장하여 모든 학생들에게 적용한 데서 시작했다. Bergmann과 Sams는 이러한 시도를 전 세계 교사들과 온라인을 통하여 나누었고, 노던 코로라도 대학의 제리 오버마이어를 포함하여 플립 러닝에 관심 있는 교사들과 함께 거꾸로..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