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문학 향가 vs 속요 vs 시조의 비교

반응형

 

한국 문화를 교육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한국 문화에 대해 알고 접해야 한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한국 문화 요소를 서술하였다.

 


 

한국 시가 문학사는 정확하게 시기를 나눌 수도 없고 자료가 많지도 않지만, 

시대 순으로 간략하게 알아보고

그중 가장 유명한 향가, 속요, 시조를 비교해보았다.

 

우선, '삼고시가'는 공무도하가, 구지가, 황조가가 있다.

[공무도하가]는 고조선 중기시대의 시가로 추정되며 한국 문학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노래이다.

[구지가]는 영신 군가로 김수로왕의 건국신화에 삽입된 노래이다.

[황조가]는 고구려 2대 왕인 유리왕이 직접 지었다고 추측하는 시가이다.

 

'삼고 시대'가 지나 바야흐로 '삼국시대'가 되면서 '삼국 시가'가 나타나는데,

안타깝게도 고구려와 백제의 시가들은 소실되어 부전시가로만 전해진다.

삼국시대의 승리국인 신라는 통일신라시대까지 더불어 '향가'라고 불리는 시가가 발달한다.

 

'향가'는 현재 25 수만 보유 중이며,

신라시대+통일신라시대 때 [삼국유사]에 14수 기록되었고

고려시대에 [균여전]에 11수 기록되어 현재까지 전해졌다.

 

고려시대가 되면 '속요'와 '경기체가'가 등장한다.

그리고 고려 말이 되면서 '시조'와 '가사'가 등장한다.

 

조선시대 때는 고려말부터 등장했던 '시조'와 '가사'가 꽃을 피운다.

그리고 조선말 '잡가'가 등장하며

이 '잡가'는 40년대부터 '대중가요'라고 불리게 된다.

 


 

 

한국 시가문학을 시대순으로 알아보았는데,

그중 향가와 속요, 시조 그리고 현대까지 비교를 해보았다.

 

신라의 향가 / 고려의 속요 / 조선의 시조 / 현대

 

 

1. 향가

향가는 신라시대 때의 시가 문학으로 정해진 형태가 있는 정형시이다.

향가는 '사 뇌격 형식'을 추구한다. 사 뇌격 형식은 "3구 6명 10구체"를 원칙으로 한다.

대부분 단형으로 짧은 형태의 노래이며 3 음보, 4 음보 두 가지 다 있지만 4 음보가 더 우세했다.

향가의 내용은 불교와 화랑도 등 정신세계를 추구하는 내용이 대부분이고 물질주의적인 내용은 추구하지 않았다.

향가에는 '차사'라고 불리는 감탄구가 있다.

 

 

2. 속요

속요는 고려시대의 시가 문학이다.

향가의 '차사'가 "후렴구"로 계승되었다.

속요는 향가와 다르게 점점 길어지는 '장가'형식인데,

이어지는 "연"마다 "후렴구"가 있다.

향가는 사 뇌격 형식인 반면에 속요는 정해진 글자, 행수 등의 제한이 없는 '자유형'의 시가이다.

속요는 3 음보 형태가 대부분인데, 3 음보는 경쾌한 느낌과 더불어 불안정, 급박, 초조한 느낌을 준다.

(예; 쿵쿵따-)

신라 시대의 향가는 정신세계를 추구한 반면에

고려 시대의 속요는 물질세계를 추구한다.

그 이유로

1) 불교의 타락 2) 신라 불교와 다름 3) 사회의 불안정 4) 불교가 정신적 지주가 되지 못함.

5) 사람들이 방탕해짐

이러한 이유로 고려 시대 사람들 또한 신라와 다르게

정신적 사랑보다는 육체적 사랑을 추구하게 되고 이러한 사회적 현상이 시가 문학에도 영향을 준 것으로 추정한다.

 

 

3. 시조

시조는 고려말에 등장하여 조선시대에 가장 꽃을 피운 시가 문학이다.

시조는 '4 음보'로 안정감 있는 리듬을 가졌다. (예; 쿵짝쿵짝-)

그리고 철저한 정형시 형태를 추구했는데,

글자 수도 맞춰야 했다. (45자 내외)

조선 시대 시조의 형식은 다음과 같다.

3글자 4글자 / 3글자 4글자 => 초장

3글자 4글자 / 3글자 4글자 => 중장

3글자(감탄구) 5글자 / 4글자 3글자 => 종장

고려시대에서 다시 조선시대로 넘어오며 정신적인 사랑과 강력한 유교 사상의 영향을 받아

다시 "정신세계"를 추구했다.

 

 

4. 현대

현대에는 정해진 것이 없는 '자유시'이며 그 속에 내재된 리듬을 가진다.

물질적인 세계를 추구하며 3 음보의 경쾌한 리듬이 우세하다.

 

 


 

신라 시대의 향가와 고려 시대의 속요 조선 시대의 시조, 마지막으로 현대까지 시대 순으로 비교하면

 

[ 4 음보+정형시+정신세계 / 3 음보+자유시+물질세계 ]

시대 순으로 이렇게 반복되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