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말하기 교육론
- 학자들의 말하기 활동 유형 -
1. Rivers and Temperly(1978)의 말하기 활동 유형
- 말하기 활동 유형을 기능 습득과 기능 사용, 2단계로 구분했습니다.
- 의사소통 학습의 과정: 과제 전 단계 - 학습 과정 - 과제 수행 단계
- 말하기 활동 유형
1) 문법 학습을 위한 입말 연습: 기능 습득 단계의 활동 유형
2) 구조화된 상호작용: 새로운 것이 아닌 구조적인 말하기 활동
3) 자율적인 상호작용: 좀 더 열린 활동, 기능 사용 단계 활동 유형, 실제성을 가진 대화 연습 활동을 한다.
2. Littlewood(1981)의 말하기 활동 유형
- 의사소통 행위 전 활동
(1) 구조적 활동 (2) 인위적(유사적, 준) 의사소통 활동
- 실제 의사소통 활동
(3) 기능적 의사소통 활동(기능에 초점) (4) 사회적 상호작용 활동 (예; 역할극)
3. Paulson & Brudder(1976)의 말하기 활동 유형
- 1단계
기계적 연습(mechanical) > 유의적 연습 활동(meaningful) > 의사소통적 연습 단계(communicative)
- 2단계
의사소통적 활동 단계 > 문제 해결 과제 (예; 역할극, 상황극)
4. Brown(1994)의 말하기 활동 유형
1) 모방형
- 반복 훈련을 통해 제한적이지만 연습할 기회를 제공
- 기계적 훈련
2) 집중형
-모방형보다 한 단계 더 나아간 것
- 언어의 음운적, 문법적 측면을 연습, 일정한 형태 반복, 독자적으로(1명) 혹은 짝 활동(2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3) 반응형
- 언어 수업은 교사나 학습자의 질문 혹은 의견에 대한 짧은 응답으로 이루어진다.
4) 정보 교류적 대화
- 특정 정보를 전달하고 교환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한다.
- 반응적 언어 행위보다 의미 협상적 경향이 강하다.
5) 사회적 대화
- 사람들 간의 사회적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활동이다.
- 예를 들어 '인사 치례' 같은 것이 있다.
- 학습자들이 약한 부분이기 때문에 활동 시간에 사회적 대화 활동을 많이 하는 것을 추천한다.
- 문화 내용을 포함한다.
- '정보 교류적 대화'와 함께 제시하는 것이 좋다.
6) 독백형(확장형)
- 중급 단계 이상의 학습자는 결과 보고 요약정리, 짤막한 연설 등의 혼자서 길게 말하는 기회를 가져야 한다.
- 예; 다음 주제에 관해 3분 이내로 말하시오.
- 발표, 연설 등의 표지를 먼저 제시해줘야 한다.
5. 학자들의 공통된 의견
기능 > 유의미적 활동 > 열린 의사소통 활동
- 수준에 따른 말하기 활동 유형 -
한국어 말하기 교육의 수준은 초급 단계, 중급 단계, 고급 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초급 단계; 1, 2급 / 중급 단계; 3, 4급 / 고급 단계; 5, 6급
1. 초급 단계(1, 2급)의 말하기 활동 유형
- 문장 만들어 이야기 하기
- 대화 완성하기
- 질문에 답하기
- 답을 듣고 질문 만들기
- 역할극, 질의응답: 중급에서 하는 활동 유형이지만 난이도를 낮춰서 활용할 수 있다.
2. 중급 단계(3, 4급)의 말하기 활동 유형
- 단어 게임하기: 끝말 연결, 십자말풀이 등
- 상황에 따른 역할극 하기
- 비교해서 말하기: 자국 문화와 한국문화 비교하기, 시골과 도시를 비교하기 등
- 이야기 재구성하기: 대본 쓰기, 사진 보고 중간 부분 재구성하기 등
- 설명하기
3. 고급 단계(5, 6급)의 말하기 활동 유형
- 좌담회 하기: 주제로 난이도를 높인다. 혼전동거, 환경문제, 낙태 등
- 발표하기
- 촌극이나 연극하기
- 인터뷰하기: 토론 후 기자 역할의 학생이 토론에 관해 인터뷰 하기 등으로 난이도를 높여야 한다.
- 특정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기: 시사 문제 등
- 기능에 따른 말하기 활동 유형 -
1. 비교해서 말하기: 문화 비교 등
2. 주장하기: 전략적으로 자신의 의견 말하기
3. 요약해서 말하기: 난이도가 있는 활동 유형이다.
4. 인사하기
5. 반박하기: 부분적 동의 후 반하는 전략
6. 거절하기: 정중하게 거절하는 방법
7. 소개하기: 사람, 사물, 동아리, 학교 등을 소개하기
8. 동의하기
9. 설명하기: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도록 한다.
'studi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문학 향가 vs 속요 vs 시조의 비교 (0) | 2020.05.28 |
---|---|
한국어 문화 교육론; 다양한 문화 교수법 (0) | 2020.05.15 |
한국어 말하기 활동 유형 제시; 의사소통 이전 활동과 의사소통 활동 (0) | 2020.05.07 |
한국어 문법 '-(으)면서'의 형식, 의미 그리고 기능에 대하여 (0) | 2020.04.24 |
언어와 언어 교육의 이론들; 구조주의, 생성 이론, 기능주의 이론 (0) | 2020.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