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정서법 길을 걷다 보면 수 많은 간판들과 홍보지 등을 볼 수 있다. 그리고 다양한 한국어 혹은 외국어들이 올바르지 않는 표기법으로 적혀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로마자를 한글로 표기함에 있어서 수 많은 오류들을 발견 할 수 있었다. 가장 많은 오류들은 로마자를 발음 그대로 표기하거나 일본식 발음을 그래도 표기한 사례들이었다. 1. 썬그라스 -> 선글라스 ‘s’는 ‘ㅅ’으로 표기한다. 어중의 [l]이 모음 앞에 오면 ‘ㄹㄹ’로 적는다. 2. 프라자 -> 플라자 어중의 [l]이 모음 앞에 오면 ‘ㄹㄹ’로 적는다. 3. 비젼 -> 비전 어말 또는 자음 앞의 [ʒ]는 ‘지’로 적고, 모음 앞의 [ʒ]는 ‘ㅈ’으로 적는다. ‘쟈,죠,쥬,져,졔,쟤’가 아니라 ‘자,조,주,저,제,재’로 표기한다. 따라서 ‘비젼’..
Qué 1. 직업을 물어볼 때 사용. “¿Qué eres? ¿Qué es usted?” 2. 지시사 중성형을 사용하여 물어봄. (이/그/저) : esto – eso – aquello 3. 요일 (Día de la semana) : el domingo – los domingos 일요일 – 매주 일요일에는 *자주 쓰는 부사(adverbio): hoy, mañana, pasado mañana 모레, ayer, esta noche 오늘밤, anoche 어젯밤, por la mañana 오전에, por la tarde 오후에, por la noche 밤에, este año 올해, el próximo año = el año próximo = el año que viene = el año entrante 내년, el..
한국어 교재론 한국어 교재의 구성 원리 1. 한국어 교수 학습 목적을 충실히 반영해 교재를 개발해야 한다. ; 일반 목적, 특수 목적(학문적, 직업적 목적) 일반 목적 -> 잠재적 특수 목적 학습자: 중급 단계부터는 학문 연구나 업무 수행 등 특수 목적 영역에서 요구되는 요소들을 포함. 2. 다양한 변인을 고려해 교재를 개발해야 한다. - 아동 VS 성인 / 외국인 VS 해외 동포 / 한국어와 유사한 언어권 학습자 VS 차이가 큰 언어권 학습자 - 숙달도 수준에 따라 달라야 하며 교육 시간의 강도에 따라서도 교재는 달라야 함. - 학습자와 환경 등에 따른 변인이 많다. 3. 정확하고 자연스러운 한국어를 익힐 수 있도록 교재를 구성. - 구어와 문어의 특성이 살아 있는 한국어 자료를 제공(구어는 구어답게,..
한국어 발음 교육론 1. 발음 교육의 필요성 '원활한 한국어 의사소통'을 위함. 학습자의 궁극적 목표는 '한국 사람처럼 한국어로 정확하고 유창하게 말하는 것' 발음이 부정확할 때, 듣는 청자가 힘들어짐. 그로인해 내용보다는 형식에 치중하게 됨. (내용의 깊이가 평가 절하) 2. 발음 교육의 목표 원활한 의사소통 자신감 향상: 정확한 발음 -> 자신감 향상 -> 발화 기회 증가 -> 한국어 능력의 전반적인 향상 *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를 잘하려면 어휘, 분법을 잘 알고 사용할 줄 알아야 한다? ( 맞다. ) *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를 잘하려면 발음을 잘 알고 정확하게 할 줄 알아야 한다? ( 맞다. ) 3. 한국어가 다른 언어보다 발음 교육이 중요한 이유 한국어는 다른 언어와 다르게 읽기와 ..
대학원 준비가 끝나고 여유가 생겨서 최근 넷플릭스를 자주 보았는데요. 제가 보고 재미있었던 드라마들을 추천해보려고 해요:) ***참고* 다음은 저의 영화 혹은 드라마 취향입니다. 호러, 스릴러, 코미디, 액션, 다크, 서스펜스, 범죄, 미스터리 등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그럼 빠르게 추천할게요:) 우선 첫 번째, 센스 8입니다. Sense 8 센스 8 제작자: 앤디 워쇼스키, 라나 워쇼스키, J. 마이클 스트라진스키 출연: 튜펜스 미들턴, 브라이언 J. 스미스, 배두나 미국 드라마, SF, 스릴러 https://www.netflix.com/title/80025744 센스8 | Netflix 공식 사이트 어느 날 갑자기 서로의 감각과 감정을 공유하게 된 낯선 8명의 남녀. 《매트릭스》와 《바빌론 5》의 제..
언어 습득론 제 2장 제2언어 습득의 토대 - 다중언어 구사능력(multilingualism): 둘 또는 그 이상의 언어를 사용하는 능력. (=이중언어 구사능력) ↔ 단일 언어 구사능력(monolingualism) - 단어의 정체성에 차이를 가져오는 소리는 음소(의미를 분별해주는 최소의 소리)라고 부른다. * 언어 데이터를 보고함에 있어 불확실성이 발생하는 이유 1) 언어 정보가 공식적으로 수집되는 일을 별로 없다. 2) 언어 정보를 묻는 질문에 대한 답이 믿을 수 없을 지도 모른다. - 소수 언어 화자로 인식되는 것을 응답자가 원치 않을 수 있다. - 질문을 어떻게 작성하느냐 하는 문제가 언어 데이터에 대한 신뢰성의 저하와 비교 불능의 원인이 되는 일은 흔함. 3) 용어에 대한 정의와 식별의 기준은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