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언어는 인간이 선천적으로 타고난 능력에 따라 사용하는 것이다.
언어에 대해서는 광의적 해석과 협의적 해석이 가능하다.
광의적 해석은 의사소통을 위한 모든 것(언어적, 비언어적, 준언어적)을 언어로 보고
협의적 해석은 인간이 사용하는 언어로 한정하며, 특히 음성 언어를 언어라고 생각한다.
언어는 역사적으로 다양하게 해석했는데
대표적으로 언어 신성관, 언어 권위관, 언어 도구관이 있다.
언어 신성관은 고대의 언어관으로 언어에 어떤 힘이 있다고 믿었다.
언어 권위관은 중세의 권력자와 성직자만 아는 라틴어나 한국의 양반과 왕족들만 배울 수 있던 한문처럼
어떤 특정 언어에 권위를 부여하거나 특별히 권위가 있는 것이다.
언어 도구관은 언어를 사상 표현의 도구로 보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의 언어 도구관은 언어가 자연적으로 존재하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것으로 본다.
시대에 따라 언어에 관한 언어 이론들이 나타났다.
구조주의, 생성 이론, 기능주의 등이 있다.
1. 구조주의 (structuralism) ; 19-20c초
- 언어는 말하는 것이지 쓰는 것이 아니다. 구어 > 문어
- 언어는 습관의 집합이다. (반복, 훈련, 강화)
- 언어 그 자체를 가르치고 언어에 대해(이론, 설명) 가르치지 마라.
- 실제로 쓰는 언어를 가르쳐야 한다.
- 언어들은 다 다르다. 변동 주의적이다.
- 구조주의는 19세기 말부터 20초의 이론
- 행동주의
- 습관의 형성으로 언어를 교육
- 발화를 단순히 따라 하기(반복), 모방 기억, 훈련, 강화, 문형 연습
- 구어 중심
- 듣기, 말하기 교육 강조
- 개별 언어 강조(언어는 다 다르다.)
- 언어의 틀을 중점으로 둔다.
- 청화 구두식 교수법
2. 생성 이론 (generative theory) ; 1960년대 이후
- 언어는 규칙이다. 그러면서 창조성을 띤다.
- 인지심리학적, 인지주의, 심리주의
- 인간만이 언어를 배운다.
- 우리가 쓸 것 같은 것이 생생한 언어이다.
- 언어는 보편적이다. 모국어와 외국어는 습득 방식이 같다.
- 생성 이론은 20세기 중반에 나타난 이론이다.
- 언어 능력은 심리적 실체이며 매우 중요하다. 언어 능력 > 언어 수행
- 보편적 습성을 강조 (언어는 보편적이다.)
- 언어는 규칙-지배적
- 그 규칙은 심리적 실체
- 언어는 인간만 사용
- 외국어 습득에도 모국어에서와 마찬가지로 보편타당한 인지적 전략이 있다.
- 아기와 같이 언어를 습득해야 한다고 말함.
- 수업에서 활용하기 힘듦
- 구체화된 교수법이 없다.
3. 기능주의(functionalism)
- 언어는 의미 표현을 위한 체계
- 언어의 1차적 기능은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에 있다.
- 유창성과 의사소통 능력 강조
- 의사소통적 접근법(communicative approach)
- 의사소통을 할 때, 소리보다 의미가 더 중요
- 기능주의는 20세기 후반에 나타난 이론이다.
- 언어 능력보다 언어 수행이 더 중요하다. 언어 능력 < 언어 수행(겉으로 드러나는 것, 사용)
- 의미, 기능(화자의 발화 의도) 중심
- 언어의 의미에 중점을 둠.
- 의사소통식 교수법
* 언어 관점과 언어 교육의 연관성 *
언어란,
- 문화 전수의 수단(문법 번역식)
-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것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경험주의, 직접 교수법)
- 음성 기호와 문장 형식의 집합(구조주의 언어학 관점, 청화 구두식)
- 규칙의 집합(생성 이론, 디자인 교수법)
- 인간의 상호작용 수단(기능주의 언어관, 의사소통식)
- 의미와 메시지를 전달하는 수단 ( " )
- 다른 것을 배울 수 있게 하는 매개물(교육적 관점, 다른 교과를 배울 수 있게 하는 도구)
언어 교육에서 나타나는 구조적 관점과 기능적 관점
1. 구조적 관점
- 형태들이 어떤 방식으로 특정한 구조를 형성
- 언어는 어휘와 문법의 규칙으로 이루어진다.
- 어휘와 문장 등과 같은 언어의 형태와 구조를 강조
- 문법 번역식 교수법, 청화 구두식 교수법
2. 기능적 관점
- 언어를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초점
- 언어 사용의 맥락(의미)를 강조
- 기능적 유형이 언어 교육의 주요한 내용 (기능적 유형: 초대하기, 소개하기, 제안하기, 충고하기 등)
- 직접 교수법과 의사소통식 교수법
실제 언어 교육의 현장에서는 두 가지 관점을
언어 교육의 목표와 내용, 상황적 변인에 따라
절충적으로 수용하여 적용하게 된다.
반응형
'studi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어 말하기 활동 유형 제시; 의사소통 이전 활동과 의사소통 활동 (0) | 2020.05.07 |
---|---|
한국어 문법 '-(으)면서'의 형식, 의미 그리고 기능에 대하여 (0) | 2020.04.24 |
어려운 스페인어 동사 변화형 정리편 (0) | 2020.03.08 |
무조건 외워야 하는 현재 시제 불규칙형 그리고 단순 과거 불규칙형 (0) | 2020.02.28 |
언어습득론, 제2언어 습득 관련 학파 및 이론에 대해 (0) | 2020.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