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습득론, 제2언어 습득에 대해서

반응형

 

 

언어 습득론


 

제1장 제2언어 습득 소개

 

제2 언어 습득이란, 어린아이로서 그들의 첫 번째 언어를 학습한 후에 어떤 언어를 학습하고 있는 개인이나 집단에 관한 연구, 그리고 그 언어를 배우는 과정에 관한 연구 모두를 가리킨다.

- 습득: 언어를 무의식적으로 알게 되는 과정, 유창하게 발화, 어린아이, 모국어

- 학습: (정규 교육 정규 교육 등을 통해) 의식적으로 얻어짐, 유창하지 않음, 성인, 외국어

학습과 습득을 별개의 개념이며 학습은 습득적으로 전이되지 않는다는 주장.

 

- 2언어(L2): 교육이나 고용, 혹은 다른 기본적 목적을 위해 필요한 공무상으로 혹은 사회적으로 지배적인 언어(화자의 제1언어는 아님). 그 언어가 사용되는 환경에서 언어를 배우는 경우. 생존을 위해 언어를 배우는 경우.

- 1언어(L1): 어린 시절 습득되는 언어.

- 목표어: 언어 학습의 목적 혹은 목표.

- 외국어: 직접적으로 혹은 필수적으로 응용되지 않고 후에 여행하기 위해 사용되거나 학교 교육을 위해 필요할 것. 그 언어가 사용되지 않는 곳에서 언어를 배우는 것.

 

- 언어의 기저 지식을 랑그(언어 능력)이라고 함.

- 언어의 실제 발화는 파롤(언어 수행)이라고 함.

 


 

* 2언어 습득(SLA)의 영역

1) 비형식적 제2언어 학습: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이루어짐. 상호작용을 통해 귀동냥으로 익히는 것.

2) 형식적 제2언어 학습: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것. 강의.

 

* 2언어 습득 과정의 세 가지 질문

2언어 학습자는 정확하게 무엇을 알게 되는가?

그 학습자는 이 지식을 어떻게 습득하는가?

어떤 학습자는 다른 학습자보다 왜 더 많이 성공적인가?

 

* 2언어 습득에 관한 문제

학습자 특성(종교, 성격, 실력…), 언어적 요인, 학습과정, 나이와 언어 습득, 학습지도의 변인들(교수법, 교재, 교사), 맥락(환경), 목적(왜 공부를 하는지)

 

* 각 분야의 학자들의 주장

1) 언어학자: 언어들의 차이점과 공통점의 특징, 학습자들의 언어 능력(기저 지식)과 언어 수행(실제 발화)을 강조.

2) 심리학자: 습득에 수반된 정신적 혹은 인지적 과정과 두뇌에서의 언어 표현을 강조.

3) 사회언어학자: 언어 수행에서의 다양성을 강조, 의사소통 능력(언어 사용을 부가적으로 담당하는 기저 지식=실용 능력)에 대한 연구 영역을 확장.

4) 사회 심리학자: 정체성이나 사회적 동기유발, 학습의 상호작용적 그리고 더 큰 사회 맥락과 같은 집단 관련 현상을 강조.

5) 응용언어학자: 위 견해 중 한 가지 이상을 취하며, 2언어 습득의 교수에 관한 이론과 연구를 암시하는데 관심이 있음.

서로 다른 방법을 사용하고 다른 이론적 틀을 활용하며, 연구 결과와 결론에 대해 다른 방법으로 다르게 해석하고 있다.

 


 

* 2언어

- 특수 목적 언어: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유학생), 직업, 비즈니스, 취업, 양육, 결혼, 귀화, 군사목적, 종교, 농업, 항해

→ ESL; 제2언어인 영어 / EFL; 외국어로서의 영어 / KSL; 제2언어인 한국어 / KFL;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 일반 목적 언어: 취미

- 도서관 언어: 책이나 저널이 학습자의 모국어로 출판되지 않을 때 도구로서 기능을 하는 언어.

- 보조 언어: 직접적인 정치적 상황에서 공식적인 기능을 위해 학습자가 알아야 할 필요가 있는 혹은 더 넓은 의사소통의 목적을 위해 필요하게 될 언어.

 

* 1언어

- 모어: 어렸을 때부터 듣고 자란 말 / 모국어: 나라와 연관. 국적과 연관.

- 순차적 다중언어 구사능력: 어린 시절 한 가지 이상의 언어를 습득하는 것

- 동시적 다중언어 구사능력: 어린 시절부터 동시에 다중언어를 구사하는 것.

 

* 학습과 학습자의 다양성

- 이런 학습 상황은 흔히 언어와 학습자 모두의 상황에 영향을 미치는 강력한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 요인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다.

- 어떤 제2언어 학습자는 왜 다른 학습자보다 더 성공적인가?

언어학자: 정체성과 학습자의 제1언어와 제2언어의 관계에 의해 정의된 학습자의 범주를 구분.

심리학자: 개별적인 적성과 성격 요인, 동기의 유형과 강도, 다른 학습전략을 근거로 구분.

사회언어학자: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차이에 따라 그리고 협상된 상호작용에서의 학습자 경험에 따라 학습자를 분류.

사회심리학자: 집단 정체성과 태도의 측면에 따라 분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