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한국어 말소리의 생성 과정 ]
1. 말소리의 개념 (음성의 개념)
- 말소리: 의사소통 목적 -> 모스 부호와 동물 소리는?
- 말소리: 인간의 발음 기관을 통한 소리 -> 한숨 소리, 숨 소리, 혀 차는 소리는?
- 말소리: 인간의 발음 기관을 통해 만들어진 언어학적으로 의미 있는 소리
2. 조음 기관
3. 말소리의 생성 과정
ㄱ. 발동 과정 -> ㄴ. 발성 과정 -> ㄷ. 조음 과정 |
ㄱ. 말소리의 재료, 폐에서 생성하는 과정, 음원(기류) 발생
ㄴ. 폐 -> 후두를 지나면서 여러가지 소리를 만듬. (유서음, 무성음...) 성대의 상태에 따라 유/무성음, 평/경/격음으로 분류
ㄷ. 성대를 지난 소리가 입모양에 따라(구강) 다양한 소리를 만듬.
* 언어에 따라 말소리 생성 과정이 다를 수 있다.
4. 말소리의 종류
- 모음은 단독으로 소리를 낼 수 있지만, 자음은 단독으로 소리를 낼 수 없다.
- 기류가 다 소리가 되는 것은 아니다.
- 모음: 공기가 성대를 지나서 방해 받지 않으면서 나오는 소리, 입모양(구강)은 바뀌지만 기류가 방해하지는 않음.
- 자음: 공기가 성대를 지날 때 기류가 구강의 중앙부에서 방해 받는 소리.
5. 자음의 분류
- 조음 위치에 따라: 기류가 구강 내 어디에서 방해 받았나
- 조음 방법에 따라: 기류가 구강 내 어떤 방해를 받았나
- 발성 유형에 따라: 성대의 상태 차이 (평/경/격음)
6. 모음의 분류
- 혀의 앞뒤 위치
- 혀의 위아래 위치
- 입술 모양
7. 조음 위치에 따른 자음 종류
- 양순음: ㅂ, ㅍ, ㅃ, ㅁ
- 순치음: f, v
- 치음: th
- 치경음: ㄷ, ㅌ, ㄸ, ㄴ, ㅅ, ㅆ, ㄹ
- 후치경음(경구개 치경음): sh
- 치경 경구개음: ㅈ, ㅊ, ㅉ
- 성문음: ㅎ
- 경구개음: 한국어에 X
- 권설음: r, 중국어
- 연구개음: ㄱ, ㅋ, ㄲ, 받침 ㅇ
- 구개수음: 불어
- 인두음: 아랍어 (강한 모음을 발음할 때, 하지만 한국어는 의미가 달라지지 않음)
8. 조음 방법에 따른 자음의 종류
- 파찰음 = 파열음 + 마찰음 (예; ㅈ, ㅊ, ㅉ)
- 유음(ㄹ): 하나의 자음 X, 우리나라 vs 달 -> 탄설음 vs 설측접근음
- 파열음: ㄱ, ㄷ, ㅂ / ㅋ, ㅌ, ㅍ / ㄲ, ㄸ, ㅃ
- 마찰음: ㅅ, ㅆ / ㅎ
- 파찰음: ㅈ, ㅊ, ㅉ
- 비음: ㅁ, ㄴ, 받침 ㅇ
- 유음: ㄹ
9. 발성 유형에 따른 자음 종류
- 유성음과 무성음: 한국어는 음운론적으로 상관 없고 구분도 안함.
* 유성음: 성대 떨림 有 / 무성음: 성대 떨림 無
- 유기음(기식음)과 무기음: 중국어 한국어의 /ㅍ, ㅃ/
10. 한국어의 발성 유형에 따른 자음의 종류
- 평음 / 경음 / 격음: 약기음(ㅂ, ㄷ, ㄱ) / 유기음(ㅍ, ㅌ, ㅋ) / 무기음(ㅃ, ㄸ, ㄲ)
11. 모음의 분류
- 혀의 높낮이(개구도;입이 벌어지는 정도)에 따라 : 고모음(폐모음) / 중모음 / 저모음(개모음)
- 혀의 전후 위치에 따라: 전설 모음 / 중설 모음 / 후설 모음
- 입술 모양에 따라: 원순 / 평순 모음
전설 | 후설 | ||
평순 | 평순 | 원순 | |
고모음 | ㅣ | ㅡ | ㅜ |
중모음 | ㅔ / ㅐ | ㅓ | ㅗ |
저모음 | ㅏ |
반응형
'studi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어습득론, 제2언어 습득 관련 학파 및 이론에 대해 (0) | 2020.02.26 |
---|---|
한국어화법과의사소통, 한국어의 화법의 기초에 대하여 (0) | 2020.02.25 |
발음 교육의 실제성; 실제 발음 교육은 어떻게 진행 될까. (0) | 2020.02.22 |
정서법, 한글 또는 로마자 오류 표기와 올바른 표기 방법 2편 (0) | 2020.02.17 |
스페인 역사, 구 스페인 그리고 서고트족 (0) | 2020.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