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서법
; 예전 수업 과제였던 저의 외래어 오류 찾아 수정하는 리포트를 참고하였습니다.
1. 돈까스 -> 돈가스
표기의 기본 원칙
파열음 표기에는 된소리를 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따라서 ‘돈까스’가 아닌 ‘돈가스’라고 표기하는 것이 옳다.
2. 샷시 -> 섀시
chassis 의 발음 표기는 [ʃӕsi]이다.
모음 앞의 [ʃ]는 뒤따르는 모음에 따라 ‘샤’, ‘섀’, ‘셔’, ‘셰’, ‘쇼’, ‘슈’, ‘시’로 적는다.
따라서 ‘샷시’가 아닌 ‘섀시’로 표기하는 것이 옳다.
3. 샤시 -> 섀시
chassis 의 발음 표기는 [ʃӕsi]이다.
모음 앞의 [ʃ]는 뒤따르는 모음에 따라 ‘샤’, ‘섀’, ‘셔’, ‘셰’, ‘쇼’, ‘슈’, ‘시’로 적는다.
따라서 ‘샤시’가 아닌 ‘섀시’로 표기하는 것이 옳다.
4. 카라멜 -> 캐러멜
캐러멜의 발음 표기는 [kӕrəmel]이다.
‘ӕ’는 ‘애’로 표기 하고 ‘ə’는 ‘어’로 표기한다.
따라서 ‘카라멜’이 아닌 ‘캐러멜’으로 표기하는 것이 옳다.
5. 브래드 -> 브레드
Bread의 발음 표기는 [Bred]이다.
‘e’는 ‘에’로 표기한다.
따라서 ‘브래드’가 아닌 ‘브레드’로 표기하는 것이 옳다.
6. 케익 -> 케이크
Cake의 발음 표기는 [keik]이다.
중모음은 각 단모음의 음가를 살려서 적는다.
따라서 ‘케익’이 아닌 ‘케이크’라고 표기하는 것이 옳다.
7. 스픈 -> 스푼
Spoon의 발음 표기는 [spu:n]이다.
‘u’는 ‘우’로 표기한다.
장모음의 장음은 따로 표기하지 않는다.
따라서 ‘스픈’이 아닌 ‘스푼’으로 표기하는 것이 옳다.
8. 스트로우 -> 스트로
Straw의 발음 표기는 [strɔ:]이다.
‘ɔ’는 ‘오’로 표기한다.
장모음의 장음은 따로 표기하지 않는다.
따라서 ‘스트로우’가 아닌 ‘스트로’로 표기하는 것이 옳다.
9. 베이직 -> 베이식
Basic의 발음 표기는[beɪsɪk]이다.
중모음은 각 단모음의 음가를 살려서 적는다.
‘s’는 ‘ㅅ’으로 표기한다.
따라서 ‘베이직’이 아닌 ‘베이식’으로 표기하는 것이 옳다.
10. 기억하개 -> 기억하게
기억 하게의 ‘하게’는 ‘하게체’이며 이것은 상대 높임법의 하나로,
상대편을 보통으로 낮추면서 약간 대우하여 주는 종결형을 사용하는 높임법이다.
따라서 ‘기억하게’가 아닌 ‘기억하게’로 표기하는 것이 옳다.
11. 센타 -> 센터
Center의 발음 표기는 [séntər]이다.
‘ə’는 ‘어’로 표기한다.
따라서 ‘센터’가 아닌 ‘센터’로 표기하는 것이 옳다.
12. 브릿지 -> 브리지
어말 또는 자음 앞에 [ts],[ ʤ]는 ‘츠’, ‘즈’로 적고,
[ʧ], [ʤ]는 ‘치’, ‘지’로 적는다.
따라서 ‘브릿지’가 아닌 ‘브리지’라고 표기한다.
13. 훼미리 -> 패밀리
외래어 표기의 일반 원칙 제 3항 원음주의 표기 여부가 결정되어야 한다.
‘훼미리’는 일본어에 의해 굴절된 단어이다.
Family 의 발음 표기는 [fӕməli]이다.
모음 앞의 ‘f’는 ‘ㅍ’로 표기하고 ‘ӕ’는 ‘애’로 표기한다.
어중의 [l]이 모음 앞에 오면 ‘ㄹㄹ’로 적는다.
따라서 ‘훼미리’가 아닌 ‘패밀리’로 표기하는 것이 옳다.
14. 사께 -> 사케
표기의 기본원칙
파열음 표기에는 된소리를 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따라서 ‘사께’가 아닌 ‘사케’로 표기하는 것이 옳다.
'studi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음교육론, 말소리의 생성 과정 (0) | 2020.02.23 |
---|---|
발음 교육의 실제성; 실제 발음 교육은 어떻게 진행 될까. (0) | 2020.02.22 |
스페인 역사, 구 스페인 그리고 서고트족 (0) | 2020.02.15 |
정서법, 한글 또는 로마자 오류 표기와 올바른 표기 방법 1편 (0) | 2020.02.14 |
스페인어 의문사 표현 Qué에 관하여 (0) | 2020.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