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한국어 발음 교육은 실제로 어떻게 진행될까? ]
-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발음 수업의 구조는 PPP이다.
(*PPP모형에 대한 것은 다음과 같다.)
https://letsdoitwithme.tistory.com/8
[한국어 교육] ppp모형 그리고 ttt모형
< ppp모형 > ppp모형은 가장 전형적이면서도 전통적인 문법 교수의 모형으로 다루어져 왔다. ppp모형은 교사 중심의 학습 절차로, 언어 학습을 일종의 습관 형성의 과정이라 보고 교사가 학습 목표가 되는 언어..
letsdoitwithme.tistory.com
도입 -> 제시, 설명 -> 연습 -> 사용 -> 마무리
1. 도입
- 목표 제시
- 동기 부여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상황을 제시)
-> 발음 수업에서는?
- 질문을 던진다. (예; 가족, 친구, 친구 이름이 뭐예요?) 발음이 틀려서 알아듣는데 어려움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을 인식시킨다.
- 발음이 틀려서 생긴 에피소드를 알려준다. (예; 택시에서 경희대를 가고 싶었는데 경기대에 간 사연)
2. 제시, 설명
- 학습자들의 발견 학습 유도
- 쉽고 명확한 설명
- 발음, 청취 방법 설명
* 'ㅓ'와 'ㅗ' 구분 (소리가 가지는 물리적 특징)
- 'ㅓ'가 소리를 낼 때 훨씬 더 강함.
- 'ㅗ' 할 때는 입모양의 통로가 좁아서 'ㅓ'보다 약하게 소리 남. (강, 약)
- 모음 중에서는 'ㅏ'가 제일 강함.
- 높낮이 조절에서도 'ㅓ'가 더 높음.
* 바, 파, 빠 구분
- 바람, 보라색 - low
- 파랑, 빨간색 - high
- 파란색 - 기식음 有
- 빨간색 - 기식음 無
3. 연습 단계
1) 단계적 연습
- 음소 -> 단어 -> 구 -> 문장 -> 대화 ; 범위를 넓혀감.
2) 형태적 연습 (의미를 생각하는 것보다 발음에 더 유의)
- 입모양에 유의하면서 발음 연습
- 단어 읽기 연습 (예; 어머니, 오징어, 어제, 오늘...)
- 단어 듣기 연습 (예; 머리, 모래, 저금, 조금...)
- 문장 읽기 연습 (예; 어서 서울로 오세요.)
- 문장 듣기 연습
- 대화 읽기
3) 재미있는 연습
- 말놀이 문장 활용
- 노래 (예; 퐁당퐁당)
- 드라마 더빙
- 게임 (예; 단어 카드를 주고 발음이 틀리거나 맞으면 점수 추가)
4. 사용 단계
- 실제적 상황 제시 (예; 식당에 가서 주문하기, 메뉴판으로 난이도 조정)
- 발음, 청취 능력 활용, 가능한 과제 제시
5. 마무리 단계
- 평가, 격려: 정확한 설명으로 칭찬하기 (예; 녹음 기능으로 처음 발음했을 때와 비교해서 평가, 격려)
- 숙제 제시: 발음은 꾸준한 연습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지속 가능하게 연습할 수 있는 과제를 주는 것이 좋다. (예; 인터뷰 녹음, 발음 연습 녹음, 쉐도잉 연습)
다음 포스팅에서는 '말소리의 생성 과정'에 관련된 내용으로 돌아 오겠습니다.
발음이 어떤 과정에서 나오는지
말소리의 개념은 무엇인지
또 조음 기관에 관해서
자음과 모음에 따라서 어떻게 달라지는 지 등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반응형
'studi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어화법과의사소통, 한국어의 화법의 기초에 대하여 (0) | 2020.02.25 |
---|---|
발음교육론, 말소리의 생성 과정 (0) | 2020.02.23 |
정서법, 한글 또는 로마자 오류 표기와 올바른 표기 방법 2편 (0) | 2020.02.17 |
스페인 역사, 구 스페인 그리고 서고트족 (0) | 2020.02.15 |
정서법, 한글 또는 로마자 오류 표기와 올바른 표기 방법 1편 (0) | 2020.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