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언어는 인간이 선천적으로 타고난 능력에 따라 사용하는 것이다. 언어에 대해서는 광의적 해석과 협의적 해석이 가능하다. 광의적 해석은 의사소통을 위한 모든 것(언어적, 비언어적, 준언어적)을 언어로 보고 협의적 해석은 인간이 사용하는 언어로 한정하며, 특히 음성 언어를 언어라고 생각한다. 언어는 역사적으로 다양하게 해석했는데 대표적으로 언어 신성관, 언어 권위관, 언어 도구관이 있다. 언어 신성관은 고대의 언어관으로 언어에 어떤 힘이 있다고 믿었다. 언어 권위관은 중세의 권력자와 성직자만 아는 라틴어나 한국의 양반과 왕족들만 배울 수 있던 한문처럼 어떤 특정 언어에 권위를 부여하거나 특별히 권위가 있는 것이다. 언어 도구관은 언어를 사상 표현의 도구로 보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의 언어 도구관은 언어가 자연..
스페인어를 하다 보면 여러가지 고비가 오는데 많은 학우들이 힘들어하던 부분이 바로 복잡하지만 꼭! 외워야 하는 동사 변화형들이다. 그 동사 변화형들을 시제별로 구별하여 정리해보았다. 스페인어 동사 변화 정리 Ir : voy – vas – va – vamos – vais – van Dar : doy – das – da – damos – dais – dan Tener : tengo – tienes – tiene – tenemos – tenéis – tienen Venir : vengo – vienes – viene – venimos – venís –vienen Querer : quiero – quieres – quiere – queremos – quiréis – quieren Ver : veo - ... S..
스페인어를 공부하다 보면 "무조건 외우세요!" 하는 부분이 있다. 그중 가장 기초적인 것이 바로 현재 시제의 불규칙형과 단순 과거 불규칙형이다. 특히 단순 과거 불규칙형은 헷갈리고 어려운 부분이지만 꼭!! 외워야 하는 부분이니 완벽하게 외우기 전까지는 여러 번 보면서 복습하며 암기해야 한다:) 가장 기본적을 외워야 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다음의 불규칙들을 나열하여 보았다. 1. 현재 시제 불규칙 E → IE : Querer / pensar / entender / empezar / sentir / sentirse Querer : quiero – quieres – quiere – queremos – queréis – quieren O → UE : dormir / volver / poder / volar / d..
[ 제2언어 습득 관련 학파 및 이론 ] 1. 행동주의 심리학 자극, 반응, 보상 반복 연습, 습관화 기계적 학습방법 / 흉내 / 보상에 의한 강화 관찰=연구 / 오류=부정적 파블로프의 개 실험 = 고전적 조건 형성 2. 인지주의 심리학 ↔ 행동주의 사고, 통찰, 논리 원칙 이해, 인지영역 지식: 추상적 원리, 생각과 인간 내면의 통찰력을 통해 지식을 얻음. 게슈탈트 심리학: 나무가 아닌 숲을 봐라. 하나하나가 아닌 전체를 연구함으로 이해한다. 3. 인본주의 심리학 느낌, 전인적 접근, 맥락 이해, 의미 이해 전체 맥락 속에서의 의미, 느껴서 아는 것. 비지시적 교육 학생 중심 학습 → 교사는 가르치는 것이 아닌 도와주는 것 학습환경만 적절히 조성되면 인간은 뭐든 배울 수 있음. 제2언어 학습자와 제2언..
[한국어 화법과 의사소통] - 언어 -> 의사소통 -> 인간관계 유지 - Maslow(1954), 인간의 욕구 (언어적 관점/언어 사용) 생리적 욕구 : 아기의 울음소리, 살려주세요, 배고파요 등... 안정의 욕구 : 요가 (릴렉싱 하세요.) 등... 소속과 사랑의 욕구 : 사랑의 언어(가족&연인... ) / 저는 부산 외국어 대학교 스페인어과입니다.. 존중의 욕구 : 호칭, 경어... 자아실현의 욕구 : ~되고 싶어, ~하고 싶어 1) 화법의 개념 (음성언어 + 비언어) - Speech, Speaking, The art of speech - 중등교육 : 말하는 이와 듣는 이가 협력하여 의미를 창조하는 상호작용 행위 - Brown(1994) : 말하기란 정보의 생산과 수용에서 의미를 ..
[ 한국어 말소리의 생성 과정 ] 1. 말소리의 개념 (음성의 개념) 말소리: 의사소통 목적 -> 모스 부호와 동물 소리는? 말소리: 인간의 발음 기관을 통한 소리 -> 한숨 소리, 숨 소리, 혀 차는 소리는? 말소리: 인간의 발음 기관을 통해 만들어진 언어학적으로 의미 있는 소리 2. 조음 기관 3. 말소리의 생성 과정 ㄱ. 발동 과정 -> ㄴ. 발성 과정 -> ㄷ. 조음 과정 ㄱ. 말소리의 재료, 폐에서 생성하는 과정, 음원(기류) 발생 ㄴ. 폐 -> 후두를 지나면서 여러가지 소리를 만듬. (유서음, 무성음...) 성대의 상태에 따라 유/무성음, 평/경/격음으로 분류 ㄷ. 성대를 지난 소리가 입모양에 따라(구강) 다양한 소리를 만듬. * 언어에 따라 말소리 생성 과정이 다를 수 있다. 4. 말소리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