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의 품사 종류와 그 특징들

반응형

 

한국어 품사


 

한국어는 총 9가지 품사가 있습니다.

동사, 형용사, 명사, 대명사, 수사, 관형사, 부사, 감탄사, 조사

  

 

이렇게 단순하게 외워도 되지만

이 9개의 품사가 어떤 역할을 하고 어떻게 쓰여지는지를 파악해야지 

좀더 정확하고 확실하게 외우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이 나누어 보았습니다.

 


 

우선 첫 번째,


모양이 변하는 가변어, 모양이 변하지 않는 불변어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가변어는 용언이 있는데,

주로 문장에서 서술어 역할을 합니다.


불변어는 체언, 수식언, 독립언, 관계언이 있습니다.


체언은 문장에서 몸체 역할을 하며 주로 주어로 쓰여집니다.

수식언은 문장에서 체언과 용언을 꾸미는 역할로 사용됩니다.

독립언은 문장에서 따로 관계를 맺지 않고 독립적으로 사용되는 아이입니다.

마지막으로 관계언은 다른 단어 뒤에 붙어서 문법적인 관계를 나타냅니다.

 


 

두 번째로는


모양의 변화 이외에 비슷한 뜻끼리 묶을 수 있습니다.

 


가변어의 용언은

동작과 과정을 나타내는 동사,

성질과 상태를 나타내는 형용사로 묶을 수 있습니다.

 

불변어의 체언은

이름을 나타내는 명사,

명사 대신 사용가능한 대명사,

숫자를 나타내는 수사가 있고

 

수식언은

체언을 꾸미는 관형사

용언을 꾸미는 부사로 세부 묶음이 가능합니다.

 

독립언은

감탄의 의미를 나타내는 감탄사

 

관계언은

체언의 문법적 의미를 도우는 조사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여기서 조사는 자립성을 가지지 않지만 조사 앞 요소가 모두 자립성을 가지므로 조사를 단어로 봅니다. *

 


 

이렇게 한국어의 9가지 품사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그렇다면 품사의 특징 몇 가지를 알아보겠습니다.

 


 

1. 명사

한국어의 명사는 명사에 조사를 붙이는 방법으로 그 기능을 나타냅니다.

또 다른 외국어에 비해 남성, 여성을 구분하지 않고

또 단수, 복수의 구분도 중요하게 두지 않습니다.

* 의존명사: 한국어의 명사 중에는 의존명사가 있는데, 문장에 사용하기 위해 반드시 관형어의 수식을 받아야 합니다.

(예) 나는 운전을 할 있다. 그녀는 취두부를 먹을 안다. 강아지 두 마리, 양말 한 켤레

 

2. 대명사

한국어는 대명사의 사용 빈도가 높지 않습니다. 

영어는 대부분 앞에 나온 명사를 뒤에서 다시 받을 때 대명사를 사용하는데, 

한국어는 같은 명사를 그대로 반복하여 쓰는 것이 더 일반적입니다.

특히 가리키는 대상이 윗사람일 경우,

'아버지', '할머니' 등을 '그' 혹은 '그녀'로 표현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3. 동사와 형용사

한국어는 동사와 형용사의 문법적 특성이 비슷합니다.

그렇다면 그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 현재를 나타내는 종결어미 '-ㄴ다/-는다'와 '-다'를 동사나 형용사의 어간 뒤에 붙여 평서문을 만들 때 차이가 난다.
  • 동사 어간 뒤에는 '-ㄴ다/-는다'가 붙고 형용사 뒤에는 '-다'가 붙는다.
  • (예) 밥을 먹는다 / 저 강아지는 귀엽다.

  • 동사 어간 뒤에만 명령형 종결어미 '-아라/-어라'나 청유형 종결어미 '-자'가 붙을 수 있다.
  • (예) 나랑 영화 보자. 미자야, 놀자.

  • 동사 어간 뒤에만 '-고 있다', '-아/-어 있다'와 '~중이다' 등과 같은 표현이 붙을 수 있다.
  • (예) 가고 있다 / 가 있다 / 가는 중이다 / 좋고 있다 (X) / 좋아 있다 (X) / 좋은 중이다 (X)

 

 

 

 

 

 

 

 

 

반응형

'studi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어의 높임법  (0) 2019.12.30
형태소  (0) 2019.12.18
ppp모형 그리고 ttt모형  (0) 2019.12.17
한국어 조사의 종류  (0) 2019.11.29
한국어의 문장 성분  (0) 2019.1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