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서법
길을 걷다 보면 수 많은 간판들과 홍보지 등을 볼 수 있다.
그리고 다양한 한국어 혹은 외국어들이 올바르지 않는 표기법으로 적혀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로마자를 한글로 표기함에 있어서 수 많은 오류들을 발견 할 수 있었다.
가장 많은 오류들은 로마자를 발음 그대로 표기하거나 일본식 발음을 그래도 표기한 사례들이었다.
1. 썬그라스 -> 선글라스
‘s’는 ‘ㅅ’으로 표기한다.
어중의 [l]이 모음 앞에 오면 ‘ㄹㄹ’로 적는다.
2. 프라자 -> 플라자
어중의 [l]이 모음 앞에 오면 ‘ㄹㄹ’로 적는다.
3. 비젼 -> 비전
어말 또는 자음 앞의 [ʒ]는 ‘지’로 적고, 모음 앞의 [ʒ]는 ‘ㅈ’으로 적는다.
‘쟈,죠,쥬,져,졔,쟤’가 아니라 ‘자,조,주,저,제,재’로 표기한다.
따라서 ‘비젼’이 아닌 ‘비전’으로 표기하는 것이 옳다.
4. 프랜즈 -> 프렌즈
프렌즈의 발음 기호는 [frends]이다.
‘e’는 ‘ㅔ’로 표기한다.
5. 타올 -> 타월
타월의 발음기호는 [tauəl]이다.
중모음 은 각 단모음의 음가를 살려서 적되, [auə]는 ‘아워’로 적는다.
따라서 ‘타올’이 아니라 ‘타월’로 표기하는 것이 옳다.
6. 그레잇 -> 그레이트
그레이트의 발음기호는 [greɪt]이다.
중모음 [ei], [au], [ai] 등은 각 단모음의 음가를 살려서 적는다.
따라서 ‘그레잇’이 아닌 ‘그레이트’로 표기하는 것이 옳다.
7. 케쥬얼 -> 캐주얼
캐주얼의 발음 표기는 [kӕƷuəl]이다.
‘ӕ’는 ‘ㅐ’로 표기한다.
어말 또는 자음 앞의 [ʒ]는 ‘지’로 적고, 모음 앞의 [ʒ]는 ‘ㅈ’으로 적는다.
‘쟈,죠,쥬,져,졔,쟤’가 아니라 ‘자,조,주,저,제,재’로 표기한다.
따라서 ‘케쥬얼’이 아닌 ‘캐주얼’로 표기하는 것이 옳다.
8. 스켄 -> 스캔
스캔의 발음표기는 [skӕn]이다.
‘ӕ’는 ‘ㅐ’로 표기한다.
따라서 ‘스켄’이 아닌 ‘스캔’이라 표기하는 것이 옳다.
9. 칼라 -> 컬러
컬러의 발음표기는 [kʌlə(r)]이다.
‘ʌ’는 ‘어’로 표기하고 또한 ‘ə’도 ‘어’로 표기한다.
따라서 ‘칼라’가 아닌 ‘컬러’로 표기하는 것이 옳다.
10. 까르보나라 -> 카르보나라
이탈리아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에 의거하면 ‘c’는 ‘ㅋ,ㅊ’로 표기 한다.
따라서 ‘까르보니라’가 아닌 ‘카르보나라’로 표기하는 것이 옳다.
11. 후레쉬 -> 프레시
프레시의 발음기호는 [freʃ]이다.
자음 앞의 ‘f’는 ‘프'로 표기한다.
어말의 [ʃ]는 ‘시’라고 적는다.
따라서 ‘후레쉬’가 아닌 ‘프레시’로 표기하는 것이 옳다.
12. 샤워크림 -> 사워크림
사워크림의 ‘sour’의 발음표기는 [sauə]이다.
중모음은 각 단모음의 음가를 살려서 적되,
[auə]는 ‘아워’로 적는다.
따라서 ‘샤워’가 아닌 ‘사워’로 표기하는 것이 옳다.
13. 리조또 -> 리소토
이탈리아어 자모와 한글 대조표에 의거하면
‘s’는 ‘ㅅ’으로 표기하고 ‘t’는 ‘ㅌ’로 표기한다.
따라서 ‘리조또’가 아닌 ‘리소토’로 표기하는 것이 옳다.
14. 후르츠 -> 프루트
프루트의 발음기호는 [fru:t]이다.
자음 앞의 ‘f’는 ‘프’로 표기하고 ‘u’는 ‘우’로 표기한다.
또 어말의 ‘t’는 ‘ㅅ’ 이나 ’트’로 표기한다.
장모음의 장음은 따로 표기하지 않는다.
따라서 ‘후르츠’가 아닌 ‘프루트’로 표기하는 것이 옳다.
15. 쥬스 -> 주스
어말 또는 자음 앞의 [ʒ]는 ‘지’로 적고,
모음 앞의 [ʒ]는 ‘ㅈ’으로 적는다.
‘쟈,죠,쥬,져,졔,쟤’가 아니라 ‘자,조,주,저,제,재’로 표기.
따라서 ‘쥬스’가 아닌 ‘주스’로 표기한다.
'studi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서법, 한글 또는 로마자 오류 표기와 올바른 표기 방법 2편 (0) | 2020.02.17 |
---|---|
스페인 역사, 구 스페인 그리고 서고트족 (0) | 2020.02.15 |
스페인어 의문사 표현 Qué에 관하여 (0) | 2020.02.13 |
한국어 교재의 구성원리 그리고 교수 요목의 종류 (0) | 2020.02.11 |
한국어 발음 교육론의 필요성, 교육 방법 등 (0) | 2020.02.10 |